Native VLAN
Native vlan 과 같은 vlan에 속하는 포트에서 수신한 프에임을 트렁크로 전송할때 인캡슐레이션화
화 하지 않고 보낼수 있는것을 naitve vlan 이라고 하는대
송신측 포트에 switchport turnk native vlan 2라고 설정하고 수신측 포트에도 switchport trunk
native vlan 2라고 설정한후 인캡슐래이션 화 하지 않은 프레임들을
수신하면 이 프레임들은 vlan 2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양측 트렁크 포트에서 설정한 네이티브 vlan번호가 동일해야 한다
VTP
vtp는 복수개의 스위치 간에 vlan 정보를 교환해 주는 프로토콜이다
vtp 모드가 server 이면 vlan을 생성 수정 삭제할 수 있으며 client 모드나 서버 모드에 있는
모든 수위치에게 받은 정보를 받아 자신과 일치 시키며 스위치는 디폴트로 server 모드이다
vtp 모드가 클라이언트 이면 vlan을 만들거나 삭제 할수 없고 오로지 다른 수위치에서 전송하고
다른 스위치에서 받은 정보를 중계만 할수 있다
vtp모드가 트랜스패어런트 모드일 때는 vlan 을 생성 수정 삭제 할수 있으나 다른 스위치로 자신의
정보를 보내지 않고 다른 스위치에서 받은 정보를 자신에게 일치 시키지 않고
다른 스위치의 vlan 정보는 다른 스위치로 중계한다.
vtp pruning
하나의 스위치에 vlan 1 과 vlan 2가 있고 네이버 스위치에는 vlan 1만이 존재 할때
1번 스위치에서 broadcast를 던질때 vlan 1번 정보만 전달하면 되는대 2번 정보까지
전달하게 된다 이에 불필요한 트래픽이 트렁크 포트를 통하여 전송되는대 vtp pruning설정을
해주면 필요 없는 트래픽이 트렁크 포트를 통하여 전송 되는 것을 차단할 수있다